농어가도우미 지원사업 신청 방법 및 대상자

```html

농어가도우미 지원사업 신청 방법 및 대상자


농어가도우미 지원사업이란?


농어가도우미 지원사업은 출산 또는 출산 예정인 여성 농어업인의 출산 전후 영농 공백을 최소화하고, 가사 부담을 줄이기 위해 정부에서 도우미 임금의 일부를 지원하는 제도입니다. 이 지원을 통해 영농 생산성을 유지하면서 농어업인의 삶의 질을 높일 수 있습니다.


지원대상 및 자격요건


- 출산 또는 출산 예정인 여성 농어업인(겸업 농어업인 포함) - 농업, 어업, 임업, 축산업을 영위하는 자 - 신청일 현재 농어촌 또는 준농촌 지역에 주민등록이 되어 있으며, 실제 거주하는 농어업 경영체 등록자 - 출산(예정)일 기준 출산 전 180일부터 출산 후 180일까지 총 360일 기간 중 90일(지역별 45~90일) 이내에서 이용 가능 - 임신 4개월 이후의 유산, 조산, 사산도 출산에 포함 - 본인이 건강보험 직장가입자, 사업자등록자, 다른 유사사업 수급자인 경우 지원 제한 가능


지원내용 및 범위


- 지원범위: 영농, 영어 관련 작업 및 가사일의 도우미 임금 지원 - 지원금액: 도우미 1일 임금 기준단가에서 80~85%(지역별 상이, 예시로 81,000원의 85% = 68,850원) 지원 - 지원기간: 출산(예정)일 기준으로 전후 최대 90일(군·구마다 일부 상이, 일부 지역 45일) 이용 가능 - 도우미 임금 일부는 자부담 발생, 보조금이 우선 소진 시 지원 종료 - 가사일 지원은 50일 미만까지 일부 허용


신청기간 및 신청장소


- 신청기간: 연중 상시 가능(단, 예산 소진 시 조기 마감 가능) - 신청장소: 거주지 읍·면·동 행정복지센터 또는 산업팀, 농업기술센터 - 일부 지자체는 출산(예정)일 기준 출산 전 90일부터 출산 후 270일까지(총 360일) 기간 가능


신청 방법 및 필요서류


- 방문 신청 시, 주민등록등본, 농업경영체등록확인서, 출산(예정) 확인서류(의사진단서, 임신확인서 등), 신분증 등 구비 - 각 지역별 안내 공고문 또는 담당 공무원을 통해 정확한 서류 확인 필요 - 농가 사정에 따라 최대 지원일수가 조정될 수 있으니 반드시 미리 문의


중요 유의사항 및 문의처


- 지원 예산 한도 내 선착순 지급이므로 조기 마감 가능 - 유사 지원사업과 중복 지원 불가, 타 자격(직장가입자 등)일 경우 제한 - 지역별 세부 기준과 지원일수, 신청금액은 일부 차이가 있으므로, 반드시 관할 행정복지센터, 산업팀, 농업기술센터 등에 사전 문의 필요 - 최신 정보는 정부24, 복지로, 각 시군구청 공지사항에서 반드시 확인


지역별 지원 주요 내용 비교


지역 지원일수 지원율 1일 지원금액(2025년 기준)
함양군 최대 90일 85% 68,850원
김천시 여성 90일
남성 10일
80% 72,000원
당진시 45일 80% 75,780원
군산시 50~90일(지역상세) 80~85% 지역별 상이

자주 묻는 질문(FAQ)


- Q. 본인이 직장 건강보험 가입자여도 신청할 수 있나요?
A. 불가합니다. 건강보험 직장가입자, 사업자등록자 등은 지원대상에서 제외됩니다.

- Q. 도우미는 꼭 지정해야 하나요?
A. 지역마다 도우미 기관이나 등록된 인력 중 선택하며, 일부는 개인 지정도 가능합니다.

- Q. 출산 후 언제까지 신청할 수 있나요?
A. 출산일 기준 최대 270일까지(전체 360일 기간 내) 신청 가능합니다.

마무리 및 안내


농어가도우미 지원사업은 출산 여성농어업인(또는 배우자 포함)의 영농 공백을 줄이고, 안심하고 출산과 육아에 전념할 수 있도록 국가에서 마련한 중요한 복지정책입니다. 각 시군구별로 세부 기준이 다를 수 있으니 반드시 거주지 행정복지센터 또는 정부24, 복지로 공식사이트에서 최신 정보를 확인한 후 신청하시길 바랍니다.


농가도우미,농어가도우미,출산지원,여성농업인,농업복지,정부지원,복지로,정부24,영농지원,농촌정책

```
다음 이전